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SA vs 401k 어떤 게 더 유리할까?

by sweetbeanjellyus 2025. 9. 14.
반응형

vs 관련된 사진

미국 직장인의 대표적인 절세 수단으로 알려진 HSA(Health Savings Account)와 401(k)는 모두 세금 혜택을 통해 자산을 늘리는 강력한 금융 도구입니다. 하지만 두 제도는 구조, 세금 혜택, 인출 규정, 유연성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HSA와 401(k)를 절세 효과, 운용 방식, 은퇴 전략 측면에서 비교하여, 어떤 상황에서 어떤 계좌가 더 유리한지 분석해 드립니다.

1. 구조와 불입 조건 비교: 누구나 되는가? 얼마나 넣을 수 있는가?

HSA (Health Savings Account)

  • 가입 자격: 고액 공제형 건강보험(HDHP) 가입 필수
  • 불입 한도 (2024): 개인 $4,150 / 가족 $8,300 / 55세 이상 추가 $1,000
  • 소득 제한 없음, 자영업자도 가입 가능

401(k)

  • 가입 자격: 고용주가 제공해야만 참여 가능
  • 불입 한도 (2024): $23,000 / 50세 이상 추가 $7,500
  • 고용주 매칭 있는 경우 추가 기여 혜택

요약: HSA는 개인 주도형, 401(k)는 고용주 중심형이며 불입 한도는 401(k)가 크지만, HSA는 의료비 절세 포함.

2. 세금 혜택과 투자 방식: 복리 효과는 누가 더 클까?

세금 혜택 비교

구분 HSA 401(k)
불입 시 소득 공제 (전액) 소득 공제 (전액)
운용 수익 비과세 비과세
인출 시 의료비: 비과세 / 일반: 조건부 은퇴 후: 전액 과세
페널티 65세 전 일반 인출 시 20% + 소득세 59.5세 전 인출 시 10% + 소득세

투자 방식

  • HSA: 본인이 직접 다양한 상품에 투자 가능 (자유도 높음)
  • 401(k): 고용주 제공 상품에 제한적 (자유도 낮음)

요약: HSA는 트리플 절세 효과와 높은 유연성을 제공, 복리 수익 극대화 가능.

3. 인출 규정과 은퇴 전략: 어떤 계좌가 더 유연할까?

HSA 인출 규정

  • 의료비 목적: 언제든지 비과세 인출 가능
  • 일반 목적: 65세 이후 소득세만 납부, 페널티 없음
  • RMD 없음
  • 의료비 영수증 보관 후 추후 인출 전략 가능

401(k) 인출 규정

  • 59.5세 이후 인출 가능
  • 전액 소득세 부과
  • 73세부터 RMD 강제 인출

상속 전략

  • HSA: 배우자 상속 가능, 자녀 상속 시 과세
  • 401(k): 상속 가능하나 과세 조건 복잡

요약: HSA는 RMD 없음, 의료비 활용, 인출 유연성 등에서 401(k) 보다 유리

결론

HSA와 401(k)는 각각 장점이 뚜렷한 계좌입니다. 하지만 절세 측면과 유연성을 고려할 때, 특히 의료비가 많이 발생하는 은퇴 이후에는 HSA의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상적인 전략은 두 계좌를 병행하여 활용하는 것입니다. 즉, 401(k)는 고용주 매칭을 활용해 최대한 불입하고, HSA는 의료비 대비와 은퇴 플랜에 맞춰 전략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재정 전략입니다.

반응형